• 태양광 패널의 핫스팟

    Hot Spot, ‘열점’의 의미를 확대하면, “특정 영역에서 열이 발생한다”가 됩니다. ‘특정 영역’은 당연히, 태양광 패널의 일부분입니다. 핫 스팟이 생기는 원인은 명확합니다. 전류가 흐르고 있는데 어떤 구간의 저항값이 존재하면, 다음 일반 공식에 따라 온도가 상승합니다. 전력, 열(W) = 전압의 곱 ÷ 저항. 즉, 저항이 커지면 W 값이 커진다. 저항이 0이면 열도 0입니다. 저항이 극단적으로 커져서, 무한대에…

  • 건물일체형 태양광 시장 동향

    서울시 녹색산업지원센터에서 발간한 ‘2024년 녹색산업 인사이트/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 보고서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적용 기술 건물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적용되므로, 제한된 설치 공간에서 최대한의 발전효율이 구현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음1) ∙ BIPV 모듈 및 패널이 다양한 환경에서 신뢰성·내구성·심미성을 확보를 위한 기술을 개발 중1)∙ 현재 BIPV에 적용가능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양면형태양전지, 투광형 태양전지 등 다양한 태양전지가…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BOS

    다음은, 미국 국립건축과학원 블로그의 기고문 중 일부입니다. (URL : https://www.wbdg.org/ resources/photovoltaics) 시스템 균형(BOS, Balance of System) “시스템 균형(BOS)”이라는 용어는 모듈 자체를 제외한 PV 시스템의 모든 것을 지칭합니다. 여기에는 장착 시스템, 배선, 결합기, 스위치/분리기, 인버터, 계량기, 배터리 등이 포함됩니다. PV 모듈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착 시스템은 “래킹(racking)”이라고 하는 금속 프레임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붕, 지면…

  • 태양광 발전, 시공 방법의 구분

    다음은, 2020년에 발행된 ‘LH 공동주택 건물부착형(벽면) 태양광 기술기준 가이드라인’의 일부로서, 해당 문서는 태양광 패널을 어떻게 건물에 부착하는지 그리고 시공 방법의 개념적 분류는 어떠한지 등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건물 설치형 : PV형 PV(PhotoVoltaic) 패널에 일정 경사각을 주는 조건으로, 건물 옥상 등 평면에 설치하는 시공 방법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고, 패널 후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 MPPT 미터

    MPPT는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의 약어로 ‘최대 파워 포인트 추적’이라고 합니다. 논리는 MPP 그래프의 최적점을 상정하고 현재 시스템이 그 목표 궤적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합니다. 판단을 위해서 기본 상태 정보가 필요하겠지요? 태양광 패널 하나를 계통에서 분리하고, 미터의 + 프로브를 태양광 패널의 (+) 출력선에, 미터의 – 프로브를 태양광 패널의 (-) 출력선에 연결합니다. 그러면, 현재 발전 전력, Peak 전압,…

  • 태양광 패널 불량 유형 (1)

    다음은,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al Energy Agency)가 발행한 ”태양광 모듈 불량에 대한 검토’ 논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1) 장주기 고장 패턴 그림 3.1: 웨이퍼 기반 결정질실리콘 모듈의 세 가지 일반적인 불량 시나리오. 사용된 약어의 정의 : LID : 광유도 열화, PID : 퍼텐셜유도 열화, EVA :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j-box : 정션 박스. 2) 패널 부품 패널 구성요소(components)와 다양한…

  • PV 패널 고장 유형과 I-V 곡선

    다음은, 2020년도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의 일부 내용입니다. “… 본 연구에서는 PV모듈의 고장유형을 박리(Delamination) 와 균열(Crack), 달팽이흔적(Snail Tracks), 핫스팟 (Hotspot),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 고장, PID(Potential-Induced Degradation)로 분류하였다. 박리는 공정 결함, 공정 전 EVA(Ethylene Vinyl Acetate) 보관 문제, 열, 습기에 의해 발생되고, 균열은 생산·운송·설치 중 발생하거나 우박, 적설, 태풍에 의 해 발생된다. 달팽이 흔적은 공정 결함과 균열된 부분에 수분이…

  •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셀

    정확한 명칭은, Perovskite-Silicon Tandem Cell입니다. 결정 형상을 정의하는 단어인 페로브스카이트 형태의 발전 셀과 일반적인 실리콘 발전 셀을 겹쳐서 배치하였으므로, ‘구조적 직렬’을 뜻하는 영어 단어 Tandem을 썼습니다. 태양의 광 에너지가 1차로 페로브스카이트 셀에 닿고 전력이 생산되고, 페로브스카이트 셀을 투과한, 다른 스펙트럼의 광원이 그 밑에 있는 실리콘 셀에 닿고 전력이 생산됩니다. 같은 강도 광원에 대하여 이중 발전을…

  • CIGS 솔라 셀

    CIGS는 구리, 인듐, 갈륨, 디셀레나이드를 합성한 조어. CIGS 셀의 가장 큰 강점은,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약 70여년 전에 착안된 셀 제조 기술입니다. 다음은, 인터넷의 소개 글입니다. (출처 : https://gatewaysolarcoop.com/what-is-copper-indium-gallium-selenide-thin-film-solar-cell/) ClS 박막 소재는 1953년 Hahn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습니다. 1974년 Bell Labs의 Wagner 등은 풀링법(Czochralski)을 사용하여 CIS 단결정을 제조하고, p-CulnSe2 단결정 위에 n-CdS를 증발시켜 CuInSe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