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 시공 방법의 구분

다음은, 2020년에 발행된 ‘LH 공동주택 건물부착형(벽면) 태양광 기술기준 가이드라인’의 일부로서, 해당 문서는 태양광 패널을 어떻게 건물에 부착하는지 그리고 시공 방법의 개념적 분류는 어떠한지 등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1. 건물 설치형 : PV형

PV(PhotoVoltaic) 패널에 일정 경사각을 주는 조건으로, 건물 옥상 등 평면에 설치하는 시공 방법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고, 패널 후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의 편의성이 있습니다.

2. 건물 부착형 : BAPV형

Building Attached PhotoVoltaic의 줄임말인 BAPV 방식으로 불리웁니다. 건물 외벽 마감은 완료되었다고 보고, 그 외벽에 PV 패널을 붙이는 방식입니다. 건물의 기본적인 우천 방수는 추가 부착된 PV 패널이 아니라 본래 있었던 건물 외벽이 담당합니다.

3. 건물 설치형 : BIPV형

건물 외벽에, 불투명 G2B(Glass to Back Sheet) 패널 또는 반투명 G2G(Glass to Glass) 패널을 붙입니다. 참고로, G2B/G2G 패널은 알루미늄 재질 프레임 그라운드가 있는 일반 PV 패널과는 형태 및 기능이 다릅니다.

여기서 절대 조건은, 따로 건물 외장 공사가 생략된다는 것입니다. BIPV형 시스템이 우천 방수를 담당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BAPV형과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다음 그림은, 이상 세 가지 솔루션 분류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참고용 사진 자료입니다.

○ 건물을 다 짓고 외벽 마감도 다 끝난 상태에서 PV 패널을 부착하였습니다. 그러므로 BAPV형입니다.

○ 건물 외벽 마감을 하지 않았고, 일반 태양광 패널이 아닌, (유리창을 대신하는) 반투명 G2G 패널을 부착하였습니다. 그러므로, BIPV/G2G형입니다.

BAPV형과 BIPV형의 시공에 있어서,

기존 시공방법은, 단일한 공유 프레임을 이용하여 복 수 패널을 설치하기 때문에, 한 개 패널이 고장 났을 때 인접한 여러 개 패널을 뜯고 모두를 재시공해야 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사실, 직렬/병렬로 연결된 여러 개 패널 중 어떤 것이 고장인지를 파악하기도 어려웠습니다.

그러한 시공상의 문제점, 관리상의 문제점은, 1:1 탈/부착을 키워드로 하는 게코시스템™으로 해결됩니다.

게코시스템은, 고장 패널의 위치를 쉽게 특정하고 고장 패널을 쉽게 분리하여 1:1 교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론을 제공합니다. 그것은 곧 최초 설치 시의 공정 비용을 줄이는 효과 그리고 운용 중 관리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담보합니다.

POST 목록

  • SCAN 장치와 RF 에너지

    송신 회로에 수 uH 코일을 두고 적당한 LC 동조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격된 곳에 있는 다른 코일을 향해 RF 에너지를 방사합니다. 수신 회로도 같은 코일을 쓰고 적당히 동조 회로가 구성되었다고 하면, 그리고 획득된 RF 에너지의 특정 파형(주파수, 예를 들어 100Khz)을 정류 평활하는 회로까지 배치되었다고 하면,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무선…

  • BS F 8414/KS F 8414 내화 실험

    과거 대형 물류창고 화재 등 몇몇 사례가 건물 외벽 마감에 관한 국가 관리 수준을 바꿔놓았고, 난연 소재 사용에서 불연 소재 사용으로 전이 중입니다. 그러면서, 사용 소재에 대한 강화된 내화 실험을 진행하게 되는데, 영국에서 시행한, 건물 화재 시 불의 전이(Fire Propagation)를 살펴보는 BS 8414 기준이 차용되었습니다. 테스트는, 빌딩 등 건물을 의사 모방하는 커다란 ‘ㄱ’ 자형 시멘트…

  • RPS 인버터 이해

    가정집으로 들어오는 전기는 AC 상용 전원입니다. DC로 생산된 태양광 패널의 발전 전력은 반드시 AC로 변환되어야 집에서 쓰거나 상용 전력 계통에 병입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RPS 발전이라고 합니다. 어떤 것에 기준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1) 어떤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용 전원의 AC를 DC로 바꿀 때는 컨버터(Converter)라고 하고, 2) 태양광 패널의 DC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의 AC로 바꾸는…

  • 태양광 RPS 고장 모드 분석

    다음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사고예방을 위한 고장모드 분석, 2024년)’이라는 간이 연구논문의 일부입니다. 1. 태양광 고장 유형의 분류 2. 위험우선순위(RPN) 평가 다음은 각 구성품의 고장이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오는지를 보여주는 평가 그래프로서, 케이블 연결 상태와 바디 다이오드(Bypass Diode) 오류의 영향도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의 자료에서 유의할 것은, 시스템에 대한 오류의 파급 영향도와 시스템 고장을 유발하는 빈도는…

  • 영농형 RPS 이해

    영농형 발전(Agrivoltaic)에서, 농작물과 RPS 발전 시스템이 태양의 광 에너지를 나눠써야 한다는 논리적 한계를 생각해야 합니다. 모순적 요소를 인정하고 광 에너지를 어떻게 적절히 배분할 것인 특히, 농작물 생육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물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와 그것을 현장에 어떻게 배치하는가, 두 가지가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기술 개발의 핵심입니다. 대표적인 구조는, □ 지붕식 구조 트랙터, 이양기 등 농사용…

  • CIGS 솔라 셀

    CIGS는 구리, 인듐, 갈륨, 디셀레나이드를 합성한 조어. CIGS 셀의 가장 큰 강점은,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지만, 약 70여년 전에 착안된 셀 제조 기술입니다. 다음은, 인터넷의 소개 글입니다. (출처 : https://gatewaysolarcoop.com/what-is-copper-indium-gallium-selenide-thin-film-solar-cell/) ClS 박막 소재는 1953년 Hahn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습니다. 1974년 Bell Labs의 Wagner 등은 풀링법(Czochralski)을 사용하여 CIS 단결정을 제조하고, p-CulnSe2 단결정 위에 n-CdS를 증발시켜 CuInSe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