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C IEC61936-1 피뢰 규격
건물에 내리친 번개의 거대한 에너지를, 즉시 대지로 빼내는 처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은, KS 규격 [교류 1kV 초과 및 직류 1.5kV 초과 전력설비 ― 제1부: 교류}의 일부입니다.
KS C IEC 61936-1:2021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관련 규정에 따라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개정한 한국산업표준이다. 이에 따라 KS C IEC 61936-1:2021(2022년 발행)은 개정되어 이 표준으로 바뀌었다. (중간 생략) KS C IEC 61936, 교류 1kV 초과 및 직류 1.5 kV 초과 전력설비(Power installations exceeding 1 kV AC and 1.5 kV DC)는 3개의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표준은 다음과 같다.
제0부: 고전압 설비의 설계 및 설치 시 준수해야 할 원칙 – 고전압 설비의 안전
제1부: 교류
제2부: 직류
이 표준은 정격전압이 교류 1 kV를 초과하고 정격주파수가 60 Hz 이하인 계통에서의 전력설비의 설계와 설치에 대하여 안전하고 적절히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일반 요건에 대하여 규정한다. 이 표준의 설명목적상 전력설비는 다음 중 하나로 간주한다.
a) 변전소(substation), 철도용 변전소 포함
b) 단주 및 탑에 설치되는 전기설비
출입제한 전기설비 운전구역 밖에 위치한 개폐기반 또는 변압기
c) 단일 부지에 위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전소
발전기, 변압기, 모든 개폐기반과 보조전력계통을 포함한 설비. 서로 다른 부지에 위치한 발전소 사이의 연계는 제외한다.
d) 공장, 산업플랜트 또는 그 밖의 산업, 농업, 상업 또는 공공구역의 전기계통
e) 해상 플랫폼에 설치된 전기 설비. 예를 들면, 해상풍력단지
● 고압 선로의 최소 이격 거리


● 접지 시스템
여기서, [접속의 연속성 시험]이 정의되어 있고, 800V를 인가하였을 때 시간 흐름에 종속된 전압 강하가 그래프로 제시되어 있음에 유의합니다.

● 피뢰침
구체 번개 즉, Rolling Sphere를 상정하고 있습니다. 회전구체법에 의한 설계는 공중 종단 네트워크, Air Temination Network을 구성합니다.


기타 사항은 생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