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PT 미터

MPPT는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의 약어로 ‘최대 파워 포인트 추적’이라고 합니다. 논리는 MPP 그래프의 최적점을 상정하고 현재 시스템이 그 목표 궤적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합니다.

판단을 위해서 기본 상태 정보가 필요하겠지요?

태양광 패널 하나를 계통에서 분리하고, 미터의 + 프로브를 태양광 패널의 (+) 출력선에, 미터의 – 프로브를 태양광 패널의 (-) 출력선에 연결합니다. 그러면, 현재 발전 전력, Peak 전압, Pek 전류, 오픈 써킷 전압, 단락 전류 등을 알기 쉽게 보여줍니다. 동작의 기본은, 전자로드(Electronic Load)와 같습니다. 그 정보와 사용 패널의 MPP를 비교합니다.

문제는, 작업자의 후면 접근이 가능한 일반 PV 시스템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입니다. 건물 외벽에 영구 부착되는 BIPV 시스템에서는, 패널의 수시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패널 인출 단자에 미터를 물리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습니다.

바로 그 현실 한계로부터 게코시스템™의 <패널 및 계통 운용 상태 모니터링 장치ㆍ시스템> 아이디어가 도출되었습니다. 게코시스템에서는, 작업자가 스캔장치를 특정 지점에 갖다대고 <SCAN> 버튼을 한 번 눌러주기만 하면, 패널 동작 상태 그리고 오류 발생 여부, 기타 부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터블 장치가 수집한 정보는 관리 프로그램에 입력되어 후속 통계 처리가 진행됩니다.

POST 목록

  • SCAN 장치와 RF 에너지

    송신 회로에 수 uH 코일을 두고 적당한 LC 동조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격된 곳에 있는 다른 코일을 향해 RF 에너지를 방사합니다. 수신 회로도 같은 코일을 쓰고 적당히 동조 회로가 구성되었다고 하면, 그리고 획득된 RF 에너지의 특정 파형(주파수, 예를 들어 100Khz)을 정류 평활하는 회로까지 배치되었다고 하면,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무선…

  • BS F 8414/KS F 8414 내화 실험

    과거 대형 물류창고 화재 등 몇몇 사례가 건물 외벽 마감에 관한 국가 관리 수준을 바꿔놓았고, 난연 소재 사용에서 불연 소재 사용으로 전이 중입니다. 그러면서, 사용 소재에 대한 강화된 내화 실험을 진행하게 되는데, 영국에서 시행한, 건물 화재 시 불의 전이(Fire Propagation)를 살펴보는 BS 8414 기준이 차용되었습니다. 테스트는, 빌딩 등 건물을 의사 모방하는 커다란 ‘ㄱ’ 자형 시멘트…

  • 최대 전력점, MPP 이해

    태양광 패널의 발전 전압과 발전 전류 그리고 소모 전류의 상관관계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모든 것은 출력 전력(P) = 출력/소모 전압(V) × 출력/소모 전류(I) 공식에 따릅니다. 예를 들어, 한여음 태양광 패널 내 CELL의 광 변환량이 최대치이지만, 소모 전류 즉, 계통 공급되는 전류(I)의 양이 크다면, 해당 패널은 이상적인 MPP를 충족할 수 없습니다. 그 관점에서 패널의 MPP 충족…

  • RPS 인버터 이해

    가정집으로 들어오는 전기는 AC 상용 전원입니다. DC로 생산된 태양광 패널의 발전 전력은 반드시 AC로 변환되어야 집에서 쓰거나 상용 전력 계통에 병입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RPS 발전이라고 합니다. 어떤 것에 기준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1) 어떤 변환 장치를 이용하여, 상용 전원의 AC를 DC로 바꿀 때는 컨버터(Converter)라고 하고, 2) 태양광 패널의 DC 발전 전력을 상용 전원의 AC로 바꾸는…

  • 태양광 RPS 고장 모드 분석

    다음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사고예방을 위한 고장모드 분석, 2024년)’이라는 간이 연구논문의 일부입니다. 1. 태양광 고장 유형의 분류 2. 위험우선순위(RPN) 평가 다음은 각 구성품의 고장이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오는지를 보여주는 평가 그래프로서, 케이블 연결 상태와 바디 다이오드(Bypass Diode) 오류의 영향도가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의 자료에서 유의할 것은, 시스템에 대한 오류의 파급 영향도와 시스템 고장을 유발하는 빈도는…

  • 영농형 RPS 이해

    영농형 발전(Agrivoltaic)에서, 농작물과 RPS 발전 시스템이 태양의 광 에너지를 나눠써야 한다는 논리적 한계를 생각해야 합니다. 모순적 요소를 인정하고 광 에너지를 어떻게 적절히 배분할 것인 특히, 농작물 생육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물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와 그것을 현장에 어떻게 배치하는가, 두 가지가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기술 개발의 핵심입니다. 대표적인 구조는, □ 지붕식 구조 트랙터, 이양기 등 농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