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M 정보를 이용한 BIPV 시스템 설계 방안
분명히, ‘건물통합형’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므로 건물의 설계도와 BIPV 시스템의 설계도는 최적의 결합점을 찾아야 합니다. 즉, 건물 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적당히 붙이고 끝내는 작업이 아니라, 패널이 붙는 대상물의 속성을 최대한 반영하는 그리고 발전 시스템의 기본 요소가 건물에 최대한 반영되는,
융합형 BIPV 발전시스템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신축하려는 건물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설계 안이 있을 것입니다. 전자 문서로 존재하는 설계 안에 담긴 물리 정보를 가져다가 BIPV 시스템의 설계에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부착 위치별 계절별 방위각, 수광량, 태양광 패널의 하중 등 온갖 정보를 가지고 최적 BIPV 설계 안인지 여부와 최적 대안이 아니라면 건물 설계 안 중에서 무엇을 보정할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결정합니다. 이때 활용되는 정보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정보라고 합니다.
2) 기존 건물이라면 작은 규모의 실증 실험을 할 수도 있으므로, 더 유리합니다.
예시는, 2018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KIEAE) 저널에 수록된 다음 논문을 참고해 주세요. 논문의 제시 키워드는,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 건물정보통합모델링, 음영분석, 어레이설계, 발전량 예측 분석입니다.
최근에 발행된, 더 많은 국내/해외 논문이 있습니다.